# jdk, 이클립스, jvm, jre
자바(Java)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다.
자바로 어플리케이션, 애플릿, 서블릿, JSP 등을 개발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스프링도 자바를 기반으로 구현한다.
자바의 실행과정
1. 사용자가 소스코드 작성(.java 파일 생성)
2. 자바 컴파일러(javac)가 .java 파일을 컴파일 하여 .class 파일 생성
3. 바이트 코드인 .class 파일(가상머신에서 동작하는 파일)을 JVM이 실행
4. JVM은 실제 운영체제에 맞는 기계어로 변환해 실행
자바 프로그래밍을 하려면 개발도구, 실행환경이 필요하다.
준비
1. JDK
2. 소스 편집기
1. JDK 설치
JDK는 자바 개발 도구(Java Development Kit)의 약자.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도구들이다. 자바 컴파일러(javac), JRE 등을 포함한다.
JRE는 JVM을 포함하고 있다.
자바 가상머신 JVM(Java Virtual Machine)
자바 소스코드(.java)를 컴파일한 자바 바이너리 파일(.class)을 실행한다.
운영체제마다 JVM은 다르다. 하지만 모든 JVM은 자바 바이너리 파일을 실행한다.
즉. 자바 소스코드가 어떤 운영체제에서 구현된다 하더라도 다른 운영체제에서도 실행가능하다.
자바 실행환경 JRE(Java Runtime Environment)
JVM + 실행할 때 필요한 라이브러리, 기타 파일들을 가지고 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 JVM이니 JRE는 JVM의 실행환경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한 번 작성된 자바 소스는 여러 운영체제에서 실행할 수 있다.
물론 각 운영체제에 맞는 JDK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그래야 그 JDK에 포함된 JVM이 해당 운영체제에 맞는 형태로 실행한다.
JDK에는 SE, EE, ME 3가지 플랫폼이 있는데
SE는 데스크탑용 어플리케이션 개발
EE는 SE +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ME는 SE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적합한 플랫폼이다.
# step 1. 설치 주소: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index.html
위 주소에서 빨간 네모쪽 을 선택하고 본인 컴퓨터의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선택해 다운받는다.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해 JDK를 설치한다.
# step 2. 환경변수 설정
이유: 어떤 위치에서도 자바를 JDK를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아래의 실행파일들을 사용하려면 해당 위치까지 접근해야 하는데 매번 그렇게 하기는 불편하다.
그래서 환경변수로 등록해 어떤 위치에서도 아래의 파일들을 사용한다.
내 컴퓨터 우 클릭 -> 속성 -> 고급 시스템 설정 -> 환경변수 클릭
- 자바 설치 경로 추가
변수이름은 이미 존재하는 시스템 변수 이름과 겹치지 않도록
변수 값은 본인이 설치한 JDK가 설치된 경로
- Path에 자바 경로 추가
방금 등록한 변수를 Path에 추가. Path에는 이미 여러 값들이 존재한다. 지우면 안 됨.
그래서 값 맨 뒤에 ;%JAVA_HOME%bin; 를 추가하자.
JAVA_HOME은 새 변수를 등록할 때 지정한 이름이기 때문이다.
이름은 본인 마음대로 짓되 이미 존재하는 시스템 변수와 겹치지 않으면 된다.
기존의 값 맨 뒤에 세미콜론(;) 추가하는 것 주의!
- CLASSPATH 변수 추가
새로 만들기로 새 변수를 등록한다.
이름은 CLASSPATH (모두 대문자다)
값에 .;%JAVA_HOME%\lib\tools.jar
세미콜론 앞에 점(.)이 있음을 주의!
. 은 현재 디렉토리에서 .class 파일을 찾음.
; 는 앞과 뒤의 경로를 구분.
- 확인
2. eclipse 설치
소스 편집기는 소스를 편집하고 .java 파일을 만들 수 있으면 된다.
Eclipse, Sublime Text, IntelliJ 등이 있는데 우선 Eclipse를 설치해 사용할 것이다.
설치 주소: https://eclipse.org/ide/
위 주소에 들어가면 (2017.01.02) 이렇게 4가지 종류가 있다.
Java IDE 는 최소한의 자바 개발 툴이라고 한다.
Java EE 는 웹 개발까지 가능하다고 한다.
Java IDE도 기본적인 기능들이 있는데 간혹 필요한 것이 없어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할 때가 있다고 한다.
그러니 일단은 Java EE를 사용해 보고나서 IDE도 한 번 써보자.
지금 현재 이클립스 버전은 Neon이다.
여태 이클립스를 자주 써왔지만 버전에 따른 차이를 잘 못 느꼈다. 버전 차이도 알아보자.
본인 PC에 맞는 운영체제를 확인하고 다운 받는다.
3. eclipse 환경 설정
window - preferences
폰트, 색 - general - appearance - colors and font - basic - edit
소스 코드 라인 - general - editors - text editors - show line numbers
최종 개발환경
운영체제 : Windows 7 Ultimate K (64bit)
CPU : Intel i5-6200U
RAM : 8GB
IDE : Java EE(Neon)
JDK : JDK1.8.0_111
'uncensor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픈소스 라이선스 (0) | 2017.02.25 |
---|---|
개발자 취준생에게 팁 (0) | 2017.02.25 |
웹 개발자 직군 정리 (0) | 2017.02.25 |
syntaxhighlighter 테스트 (0) | 2017.01.06 |
01.안드로이드 구성요소 (0) | 2016.09.18 |